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어수업] 단모음과 이중모음

국어

by 빈배93 2014. 9. 17. 09:15

본문

   단모음(單母音)과 이중모음(二重母音)은 어떻게 구분하느냐?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고정되느냐 달라지느냐로 나눠. 직접 해봐. 그럼 알게 되겠지?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쉽지 않아, 예민한 감각이 있어야 하는데, 선생님 같이 둔한 사람은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그렇더라고. 그럴 때는? 그냥 마 외우는 거야.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아주 규칙적으로 만드셔서, 일정한 패턴이 있으니, 암기하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아. 

 

   단모음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단모음의 '단(單)'은 '홑' '단독' '하나'라는 뜻이야. 그러니까 단모음은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이라는 거지. 국어의 단모음은 총 10개야. 몇 개라고? 10개! 10개가 뭔지 외워두자. 왜? 10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이중모음이거든. 수십 개나 되는 이중모음을 모두 외울레? 그냥 단모음 10개 외우는게 낫겠지? 단모음 열 개는 이레.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이렇게 10개야. 규칙이 보이지. 기본자와 초출자는 무조건 단모음이야. 기본자는 천지인이지. 그러니까, '·(아래 아)', 'ㅡ', 'ㅣ'가 기본자인데, '·(아래 아)'는 쓰지 않으니까 빼고, 나머지 둘이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기본자지. 초출자가 뭐냐고? 'ㅏ', 'ㅓ', 'ㅗ', 'ㅜ'가 초출자잖아. 그러면 남는 애가 'ㅐ', 'ㅔ', 'ㅚ', 'ㅟ'인데, 초출자에 'ㅣ'만 더한 거야. 그럼 쉽게 외울 수 있겠지. 초출자에 이 중에서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어. 하지만 그냥 단모음이라고 외워둬.

 

   이중모음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이중 모음은 쉽게 말하면 이중으로 발음해야 하는 모음이야. 사전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음이지. 이중 모음은 무지 많아. 다 외울 수도 없고 다 외울 필요도 없어. 그냥 단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애들은 모두 이중 모음이라고 생각해. 예를 들면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ㅞ', 'ㅢ' 따위가 있는데, 여기서도 패턴이 보이지. 재출자, 그러니까 'ㅑ', 'ㅕ', 'ㅛ', 'ㅠ'와 'ㅑ', 'ㅕ', 'ㅛ', 'ㅠ', 포함된 모음은 모두 이중 모음이야 'ㅘ', 'ㅝ', 'ㅞ'와 같은 애들도 이중 모음이라는 것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겠지. 하나 신경써서 봐둘 게 'ㅢ'야. 애는 이중 모음이다 하고 그냥 외워둬.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