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아이의 아버지가 있었습니다.
아버지는 학교 교육이 미덥지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직접 아이를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아이가 3살이 되던 해, 처음으로 그리스어를 배웠습니다.
8살 무렵에는 헤로도토스, 크세노폰, 플라톤의 책을 읽었고,
대수학과 프랑스어도 배웠습니다.
12살에는 논리학을 배웠고, 취미로 역사를 집필하였습니다.
아이는 아버지에게 무한한 존경심을 가졌습니다.
아버지는 아이와 아침식사 전에 늘 산책을 하였습니다.
숲이 우거진 오솔길을 함께 걸었습니다.
“아들아, 어제 읽은 책의 내용을 말해주겠니?”
“예, 아버지. 어제는 이런 저런 내용을 읽었어요.”
“음 그건, 이렇게 생각해보는 것이 어떨까?”
아버지와 아들의 산책 시간은 최고의 토론 시간이었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이 무작정 외우는 것을 철저히 경계하여, 어떤 경우에도 이해를 우선하였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이 스스로 노력해서 깨달을 수 있는 것은 절대 가르쳐주지 않았습니다.
아버지는 자만을 경계하여 아들의 귀에 칭찬의 말이 들리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아버지는 사람에겐 어떤 가능성이 있고, 사람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려 하였습니다.
아들이 14살이 되어 아버지 곁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말을 하였습니다.
“너는 새로운 사람과 만날 것이고, 그들은 너를 칭찬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아버지를 잘 만난 너의 행운 때문이란다.
네가 좀 더 아는 것은 칭찬 받을 일이 못된단다.
반대로 칭찬을 받는 것이 네게는 치욕이 될 것이다.”
아들은 훗날 세계 최고의 사상가로 이름을 남깁니다.
아버지의 이름은 제임스 밀이고,
아들의 이름은 존 스튜어드 밀입니다.
제 자식은 가르칠 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역자교지易子敎之(자식을 바꾸어서 가르침)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식을 세계최고의 사상가로 키워낸 아버지는 보통사람이 아닙니다.
제임스 밀의 교육법.
1. 훌륭한 멘토만 있다면 학교교육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2. 가능한 어린 나이에 독서를 통한 조기교육을 한다.
3. 고전 위주의 독서를 하고, 독서한 내용을 대화한다.
4. 스스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 이해할 때까지 기다리고 격려한다.
5.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과 지혜는 토론을 통해 보다 정교하게 다듬는다.
6. 보다 큰 비젼을 가지도록 가르친다.
"만화 [자유론], 홍성자 글, 이주한 그림, 주니어김영사, 2009. pp.24∼30" 의 내용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세계적인 고집불통 민민이
그런 민민이를 이기는 우야
아리스토텔레스는 가라, 베이컨이 왔다,[신논리학] (0) | 2011.06.30 |
---|---|
헬레니즘 고사성어 사전, [이윤기의 그리스로마 영웅열전] (0) | 2011.06.29 |
아내와 함께 두 번 쓴 글 [자유론]을 읽고 (0) | 2011.06.25 |
정치, 잔인함과 관대함의 경계에서 줄타기 (0) | 2011.06.24 |
훌륭한 지도자도 폭군 못지 않은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 (0) | 2011.06.23 |